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당뇨병 연구방법
김대중

아주의대 내분비대사내과
국민건강영양조사는 1995년에 공표된 국민건강증진법 제16조에 근거하여 독립적으로 시행하던 ‘국민건강조사’와 ‘국민영양조사’를 통합한 전국 규모의 건강 및 영양조사이다. 1998년 제1기 조사를 시작하였고, 2001년 제2기, 2005년 제3기 조사를 시행하였다. 3년 주기 단기조사체계로 운영하던 것을 2007년 7월부터는 연중조사체계로 개편하여 매년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를 제4기, 2010년부터 2012년까지는 제5기 조사를 수행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목적은 국민의 건강수준, 건강관련 의식 및 행태, 식품 및 영양섭취 실태에 대한 국가 및 시도 단위의 대표성과 신뢰성을 갖춘 통계를 산출하는 것이며, 통계 자료는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목표 설정 및 평가,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등 보건정책 수립 및 평가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조사대상 및 표본설계
제1기부터 제3기조사까지는 건강면접조사의 경우 12,000가구, 보건의식행태조사, 검진조사, 영양조사의 경우 4,000가구를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제4기 조사에서는 2007년은 2,300가구, 2008년과 2009년은 각각 4,600가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제5기 조사는 매년 약 3,840가구를 조사대상으로 하여 1월부터 12월까지 연중 실시하였다.
제5기(2010-2012년)조사의 표본조사구는 주민등록인구자료의 통반리목록에서 추출한 일반주택 조사구와 아파트시세자료의 아파트단지목록에서 추출한 아파트 조사구로 구성하였다. 표본조사구는 먼저 시도별 (서울, 6대 광역시, 경기, 경상․강원, 충청, 전라․제주)로 1차 층화하고, 일반지역은 성별, 연령대별 인구비율 기준 26개 층으로, 아파트지역은 단지별 평당 가격․평균평수 등 기준 24개 층으로 2차 층화한 후 추출하였다. 추출된 표본조사구 내에서는 계통추출방법으로 조사구당 20개의 최종 조사대상 가구를 추출하였다.

표 1. 연도별 표본설계 특징 비교


조사내용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건강설문조사, 영양조사, 검진조사로 구성되어 있다. 건강설문조사의 만1세이상 공통조사영역으로는 이환, 손상, 활동제한, 의료이용, 교육, 안전의식 등이 있으며, 성인(만19세이상)과 청소년(만12~18세)의 경우 경제활동, 흡연, 음주, 정신건강 등을 추가로 조사하였다. 삶의 질은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가구당 성인 1인에게 세대유형, 주택소유여부, 주택형태, 월평균소득, 결혼여부 등 가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검진조사는 신체계측, 혈압 및 맥박 측정, 혈액 및 소변검사, 구강검사, 폐기능검사, 안검사, 이비인후검사, 골밀도 및 체지방검사, 흉부X-선검사, 골관절염검사로 구성하였다. 혈액검사로는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혈중요소질소, 크레아티닌, 공복 혈당, 당화혈색소, 인슐린(’10), B형간염표면항원, 지오티, 지피티, 감마지티피, 철, 철결합능,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페리틴, 비타민D, 알칼라인 포스파테이즈 등이다. 당화혈색소 검사는 2010년까지는 당뇨병유병자에 한하여, 2011년 이후는 10세이상 전체 검진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영양조사는 식행태, 식이보충제, 영양지식, 식품안정성 등에 관한 현황(식생활조사)과 조사1일전 식품섭취내용(24시간 회상법)등으로 구성하였으며, 만12세이상을 대상으로 63항목의 식품에 대한 식품섭취빈도조사를 추가로 실시하였다.

참여 현황
제5기 2차년도(2011)에는 조사대상자 10,589명, 건강설문조사, 검진조사, 영양조사 중 1개이상 참여자는 8,518명, 전체조사 참여율은 80.4%로, 전년도 전체참여율 81.9%보다 1.5%p감소하였다. 검진 및 건강설문조사의 경우 대상자 10,589명, 참여자 8,055명으로 참여율은 76.1%였다. 영양조사는 이동검진센터 조사완료 1주일 후 가정방문을 통해 조사하며 검진 및 건강설문조사에 가구원 중 1인이상 참여한 가구에 한하여 해당 가구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므로, 검진 및 건강설문조사에 비해 참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82.4%로 나타났다.

가중치
국민건강영양조사의 표본이 우리나라 국민을 대표하도록 가중치를 사용하여 결과를 산출하여야 한다. 가중치는 가구단위 분석을 위한 가구가중치와 개인단위 분석을 위한 개인가중치로 분류하였고,가구가중치는 조사 참여가구가 우리나라 전체 가구를,개인가중치는 조사 참여 개인이 우리나라 전체 인구를 대표할 수 있도록 부여하였다. 제5기 1차년도(2010)기본 가중치는 가구조사 가중치,건강설문조사와 검진조사를 통합하여 산출한 건강설문․검진가중치, 영양조사 가중치로 구성하였다
제4기(2007-2009) 순환표본조사 도입 이후, 제5기(2010-2012)에도 순환표본설계방법에 따라 3개년도가 동일한 특성을 갖는 표본을 추출하였다. 자료통합시 제4기 또는 제5기의 동일 순환표본내 통합 뿐만 아니라, 제4기와 제5기 자료도 통합이 가능하며 이 경우 조사대상기간 (2007.7~12월, 2008~2011년)이 각 연도를 대표한다고 간주하고, 통합가중치를 산출한다. 단, 2007년은 제4기(2008-2009)조사구의 절반만을 하반기(7~12월)에 조사한 점을 고려하여 2007년과 다른 연도 자료통합시 2007년의 통합가중치 반영비율을 1/2로 적용하고, 다른 연도는 1로 적용한다. 즉, 2007년에서 2011년 자료통합시 2007, 2008, 2009, 2010, 2011년의 통합반영 비율은 각각 1/2, 1, 1, 1, 1을 적용한다.

복합표본설계 자료분석
복합표본설계를 고려한 분산추정값은 SAS, SPSS, SUDAAN, Stata 등의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출가능하며, 복합표본설계 요소인 가중치, 층화변수, 집락변수(1차 표본추출단위)를 지정하여 분석해야 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분석시 층화변수는 표본설계층 일부를 통합한 분산추정층 (변수명 kstrata, kstrata1, kstratra2), 1차 추출단위는 조사구 (변수명 psu)를 사용한다. 가중치는 관심변수가 포함된 조사부문이 1개인 경우 해당 조사부문의 가중치 변수를, 2개 이상인 경우 적절한 연관성분석가중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당뇨병 관련 연구
Pubmed에서 KNHANES를 조회하면 152개의 논문이 조회되고, KNHANES + diabetes로 조회하면 32개의 논문이 나온다. 그중 136편의 논문이 2010년 이후 게재되었다. KoreaMed 사이트에서 같은 방식으로 조회하면 136개와 30개가 조회된다. 얼핏 생각하면 별로 많지 않다고 느낄 것이다. 참고로 Pubmed에서 NHANES를 조회하면 21717개가 조회되고, NHANES + diabetes 로 조회하면 1755개가 나온다.
물론 미국의 NHANES가 우리나라의 국민건강영양조사보다 역사가 더 깊고 더 체계적이기 때문에 더 많은 논문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도 더 많은 연구자들이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관심을 갖고 분석해야 한다.

Pubmed에서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 당뇨병(diabetes) 조회 논문
  1. Kim WY, Kim JE, Choi YJ, Huh KB. Nutritional risk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type 2 diabetes mellitus. Asia Pac J Clin Nutr. 2008;17 Suppl 1:47-51. Review. PubMed PMID: 18296299.
  2. Seo SJ, Lee HY, Lee SW.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comparisons of the criteria of Cook et al., Cruz and Goran, and ferranti et al. Yonsei Med J. 2008 Aug 30;49(4):563-72. doi: 10.3349/ymj.2008.49.4.563. PubMed PMID: 18729298; PubMed Central PMCID: PMC2615283.
  3. Park SH, Lee KS, Park HY. Dietary carbohydrate intake is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Korean: analysis of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Int J Cardiol. 2010 Mar 18;139(3):234-40. doi: 10.1016/j.ijcard.2008.10.011. Epub 2008 Nov 14. PubMed PMID: 19013653.
  4. Park SE, Kim HM, Kim DH, Kim J, Cha BS, Kim DJ.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general and abdominal obesity in Koreans: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 and 2005. Obesity (Silver Spring). 2009 Apr;17(4):767-71. doi: 10.1038/oby.2008.586. Epub 2009 Jan 29. PubMed PMID: 19180067.
  5. Kim J, Kim HM, Kim KM, Kim DJ. The association of sleep duration and type 2 diabetes in Korean male adults with abdominal obesity: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Diabetes Res Clin Pract. 2009 Nov;86(2):e34-6. doi: 10.1016/j.diabres.2009.06.027. Epub 2009 Jul 23. PubMed PMID: 19631400.
  6. Park SH, Choi SJ, Lee KS, Park HY. Waist circumference and waist-to-height ratio as predi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Korean adults. Circ J. 2009 Sep;73(9):1643-50. Epub 2009 Jul 29. PubMed PMID: 19638708.
  7. Choi YJ, Kim HC, Kim HM, Park SW, Kim J, Kim DJ. Prevalence and management of diabetes in Korean adult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1998-2005. Diabetes Care. 2009 Nov;32(11):2016-20. doi: 10.2337/dc08-2228. Epub 2009 Aug 12. PubMed PMID: 19675201; PubMed Central PMCID: PMC2768204.
  8. Jang SY, Kim IH, Ju EY, Ahn SJ, Kim DK, Lee SW. Chronic kidney disease and metabolic syndrome in a general Korean population: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Study. J Public Health (Oxf). 2010 Dec;32(4):538-46. doi: 10.1093/pubmed/fdp127. Epub 2010 Jan 8. PubMed PMID: 20061374.
  9. Son KY, Park SM, Lee CH, Choi GJ, Lee D, Jo S, Lee SH, Cho B. Behavioral risk factors and use of preventive screening services among spousal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Support Care Cancer. 2011 Jul;19(7):919-27. doi: 10.1007/s00520-010-0889-7. Epub 2010 May 6. PubMed PMID: 20445996.
  10. Lee K. Cardiovascular risk prevalenc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from 1998 to 2007 in Koreans. Asia Pac J Clin Nutr. 2010;19(2):261-5. PubMed PMID: 20460242.
  11. Paek KW, Chun KH. Sex difference of type 2 diabetes affected by abdominal obesity versus overall obesity. Yonsei Med J. 2010 Nov;51(6):850-6. doi: 10.3349/ymj.2010.51.6.850. PubMed PMID: 20879050; PubMed Central PMCID: PMC2995986.
  12. Kim EJ, Jin BH, Bae KH. Periodontitis and obesity: a study of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Periodontol. 2011 Apr;82(4):533-42. doi: 10.1902/jop.2010.100274. Epub 2010 Nov 2. PubMed PMID: 21043799.
  13. Jung SH, Ryu JI, Jung DB. Association of total tooth loss with socio-behavioural health indicators in Korean elderly. J Oral Rehabil. 2011 Jul;38(7):517-24. doi: 10.1111/j.1365-2842.2010.02178.x. Epub 2010 Dec 1. PubMed PMID: 21118289.
  14. Lee SW, Kim YC, Oh SW, Koo HS, Na KY, Chae DW, Kim S, Chin HJ. Trends in the prevalence of chronic kidney disease, other chronic disease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in an adult Korean population: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Nephrol Dial Transplant. 2011 Dec;26(12):3975-80. doi: 10.1093/ndt/gfr154. Epub 2011 Mar 31. PubMed PMID: 21454352.
  15. Kim IH.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 of chronic diseases to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disability for elderly South Koreans: based on representative data. J Prev Med Public Health. 2011 Jan;44(1):32-40. doi: 10.3961/jpmph.2011.44.1.32. PubMed PMID: 21483221.
  16. Lee HM, Kim YM, Lee CH, Shin JH, Kim MK, Choi BY.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and related factors in the jurisdictional areas of primary health care posts in a rural community of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11 Mar;44(2):74-83. doi: 10.3961/jpmph.2011.44.2.74. Korean. PubMed PMID: 21483226.
  17. Kim J, Chu SK, Kim K, Moon JR. Alcohol use behaviors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South Korean middle-aged men. BMC Public Health. 2011 Jun 22;11:489. doi: 10.1186/1471-2458-11-489. PubMed PMID: 21693063; PubMed Central PMCID: PMC3151233.
  18. Kim Y, Lee BK. Association between urinary arsenic and diabetes mellitus in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according to KNHANES 2008. Sci Total Environ. 2011 Sep 1;409(19):4054-62. doi: 10.1016/j.scitotenv.2011.06.003. Epub 2011 Jul 1. PubMed PMID: 21723589.
  19. Rhee SY, Chon S, Kwon MK, Park IeB, Ahn KJ, Kim IJ, Kim SH, Lee HW, Koh KS, Kim DM, Baik SH, Lee KW, Nam MS, Park YS, Woo JT, Kim YS. Prevalence of chronic complications in korea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diabetes program. Diabetes Metab J. 2011 Oct;35(5):504-12. doi: 10.4093/dmj.2011.35.5.504. Epub 2011 Oct 31. PubMed PMID: 22111042; PubMed Central PMCID: PMC3221026.
  20. Kang JH, Jeong BG, Cho YG, Song HR, Kim KA. Socioeconomic costs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n adults. J Korean Med Sci. 2011 Dec;26(12):1533-40. doi: 10.3346/jkms.2011.26.12.1533. Epub 2011 Nov 29. PubMed PMID: 22147988; PubMed Central PMCID: PMC3230011.
  21. Choi YJ, Lee MS, An SY, Kim TH, Han SJ, Kim HJ, Chung YS, Lee KW, Kim DJ. The Relationship between Diabetes Melli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09). Diabetes Metab J. 2011 Dec;35(6):587-94. doi: 10.4093/dmj.2011.35.6.587. Epub 2011 Dec 26. PubMed PMID: 22247901; PubMed Central PMCID: PMC3253969.
  22. Rhee SY, Hwang YC, Chung HY, Woo JT. Vitamin D and diabetes in Koreans: analyses based on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09. Diabet Med. 2012 Aug;29(8):1003-10. doi: 10.1111/j.1464-5491.2012.03575.x. PubMed PMID: 22247968; PubMed Central PMCID: PMC3504347.
  23. Lee K. Soft tissue composition and the risk of low bone mineral density: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2009. Calcif Tissue Int. 2012 Mar;90(3):186-92. doi: 10.1007/s00223-012-9573-x. Epub 2012 Feb 2. PubMed PMID: 22298125.
  24. Park S, Lee BK.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fat intake and blood lead levels in the Korean adult population in the KNHANES 2007-2009. Sci Total Environ. 2012 Jul 15;430:161-6. doi: 10.1016/j.scitotenv.2012.05.009. Epub 2012 May 28. PubMed PMID: 22647239.
  25. Lee YH, Bang H, Kim HC, Kim HM, Park SW, Kim DJ. A simple screening score for diabetes for the Korean population: development, validation, and comparison with other scores. Diabetes Care. 2012 Aug;35(8):1723-30. doi: 10.2337/dc11-2347. Epub 2012 Jun 11. PubMed PMID: 22688547; PubMed Central PMCID: PMC3402268.
  26. Kim KI, Kim CH. Treating hypertension to reduce cardiovascular risk: a Korean perspective. Clin Ther. 2012 Jul;34(7):1559-68. doi: 10.1016/j.clinthera.2012.05.006. Epub 2012 Jun 15. PubMed PMID: 22704810.
  27. Lee BK, Park S, Kim Y. Age- and gender-specific associations between low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 and type 2 diabetes in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analysis of 2008-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sia Pac J Clin Nutr. 2012;21(4):536-46. PubMed PMID: 23017312.
  28. Lee HS, Lee SS, Hwang IY, Park YJ, Yoon SH, Han K, Son JW, Ko SH, Park YG, Yim HW, Lee WC, Park YM. Prevalenc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in adults with diagnosed diabetes: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J Hum Hypertens. 2013 Jun;27(6):381-7. doi: 10.1038/jhh.2012.56. Epub 2012 Dec 6. PubMed PMID: 23223084.
  29. Moon SS. Association of lead, mercury and cadmium with diabetes in the Korean populati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9-2010. Diabet Med. 2013 Apr;30(4):e143-8. doi: 10.1111/dme.12103. PubMed PMID: 23278294.
  30. Chung HK, Cho Y, Shin MJ. Alcohol use behaviors, fat intake and the function of pancreatic β-cells in non-obese, healthy Korean males: findings from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n Nutr Metab. 2013;62(2):129-36. doi: 10.1159/000345587. Epub 2013 Jan 31. PubMed PMID: 23392227.
  31. Lee M, Chae SW, Cha YS, Cho MS, Oh HY, Kim MK. Development of a Korean Diet Score (KDS) and its application assessing adherence to Korean healthy diet based on the Korean Food Guide Wheels. Nutr Res Pract. 2013 Feb;7(1):49-58. doi: 10.4162/nrp.2013.7.1.49. Epub 2013 Feb 4. PubMed PMID: 23424060; PubMed Central PMCID: PMC3572226.
  32. Lee K, Yang JH. Which Liver Enzymes Are Better Indica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Adolescents: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Metab Syndr Relat Disord. 2013 Mar 1. [Epub ahead of print] PubMed PMID: 23451816.